Mike Yuguo Mei 梅宇國 (b. 1955)

[Back to Exhibition Homepage]

Jump to:
中文 Chinese | 日本語 Japanese | 한국인 Korean | English


中文 Chinese

Han Yu’s Poem (韓愈詩), 2012 in Boston
Ink on xuan paper
73.7cm x 208.3 cm (29”x 82”)

最初將韓愈的詩和梅的書法作品結合在一起的是季節共鳴。然而,這種關係僅止於此,因為梅的筆法獨具一格。他將傳統均衡的篆書與草書的動態表現力融為一體。雖然普通讀者可能會發現許多字難以解讀,但梅的奇思妙想的發明,以圖畫般的元素為特色,吸引和愉悦讀者。


Quiet to See Further  靜以致遠, undated
Ink on xuan paper
38 cm x 114.3 cm (15”x 45”)

水平版式的設計適合高掛在牆上或傳統房屋的橫樑上。這樣的作品往往是人們一進門首先看到的,有助於營造空間氛圍。 「靜觀遠方」是書房的理想之選,鼓勵人們靜心沉思。這幅作品的特點是筆畫棱角分明,重按後有尖提,是隸書的特色。隸書在歷史上曾被無名文士用於政府文件和紀念石碑,它既可以是正式的,也可以是特立獨行的。 梅故意讓墨跡在某些地方乾涸,給人一種筆畫被歲月風化的印象,從而喚起人們對古代的回憶。右側的山羊圖章則增添了幾分俏皮。


For Truly Great People, Look to This Age 數風流人物 還看今朝, 2021
Ink on xuan paper
48.3 cm x 94 cm (19” x 37”)

這幅作品採用了毛澤東的詩作《沁園春.雪》中的名句,這幅作品散發出勃勃生機。梅氏透過行雲流水般的草書筆觸放大了這能量,大多數字都連得天衣無縫,猶如一氣呵成。這種被稱為 「一筆書 」的技巧增強了作品的動感。


Enjoying the Moon and Chanting to the Wind  賞月吟風, 2003 (Year of the Goat)
Ink on xuan paper
53.3 cm x 109.2 cm (21”x 43”)

這幅四字作品唤起了 「臨風賞月」的隽永意境。急轉直下的 「飛白 」段落,展露出毛筆的筆鋒。這些效果與夜深人静時的喜悦主題相得益彰。精湛的技法使筆觸顯得立體而交織,像是打結的絲帶。一個印有作者姓氏的小印章被小心翼翼地放置在兩個字(「吟 」和 「風」)之間。這一細節不僅使空洞變得生動了,還解決了此處間距比其他字稍寬的問題。


日本語 Japanese

韓愈詩、2012年ボストン
墨画仙紙
73.7cm x 208.3 cm (29”x 82”)

唐代の学者・官僚である韓愈(768年-824年)による季節の魅力を表現した以下「早春呈水部張十八員外」の詩を引用した作品で、春の作品。

天街小雨潤如酥
草色遙看近卻無
最是一年春好處
絕勝煙柳滿皇都

都大路は、小雨が降りしっとりと潤っている遠くから見ると、草木が芽吹いているようだが、近づくとまだ見られない今が一年で最も素晴らしい春の季節である都に靄がかかった柳が茂る時期よりも美しい

韓愈の詩と梅字國の書の季節的な共鳴が当初は、二つの作品を結び付けたが、梅字國の筆致が彼独自のものであることから、つながりは季節感に止まる。梅字國は、伝統的にバランスが取れた篆書と草書のダイナミックな表現力を融合させている。何気なく読む者にとっては多くの文字が難解に見えるかもしれないが、絵のような要素がある奇抜な創作は、見る者を魅了し、楽しませてくれる。


靜以致遠(制作年なし)
墨画仙紙
38 cm x 114.3 cm (15”x 45”)

横長の形式は、伝統的な家屋の壁あるいは梁の高い位置にかけられるようなデザインになっている。通常、玄関に入って最初に目にする作品で、空間の雰囲気を作るのに役立つ。「靜以致遠」は、書斎に最適な作品で、静かな瞑想を誘う。隷書の特徴である筆を立ててからしっかり筆圧をかける角張った筆遣いとなっている。隷書は歴史的に、政府文書や匿名の作による記念石碑に使用され、形式的にも特異的にも用いられる。所々、故意に墨が乾くようにすることで、年月を経て風化した筆跡の印象を出している。右側の山羊の絵印が遊び心を加えている。


數風流人物還看今朝、2021年
墨画仙紙
48.3 cm x 94 cm (19” x 37”)

毛沢東の詩「沁園春雪」の有名な一節を取り上げた作品で、華やかさを演出している。一息で書いたかのように大半の文字が切れ目なく繋がっている草書が素早い流れるような筆致で、力強さがみなぎっている。一筆書として知られる技法が、作品をさらにダイナミックなものにしている。


賞月吟風、2003年(未年)
墨画仙紙
53.3 cm x 109.2 cm (21”x 43”)

四文字からなる本作品は、風を迎えながら、月を崇めるという時代を超えたイメージを呼び起こす。素早く書かれたジグザグ線が、筆の毛先をさらすことで、「飛白」の跡を露にしてる。飛白の効果が、夜の静けさにある喜びというテーマを引き立てている。見事な筆遣いが、筆致を立体的に見せており、リボンが絡み合っているように見える。書家の姓を記した小さな印が、「吟」と「風」の二つの文字の間に斜めに注意深く配置されている。この印は、空白に息を吹き込むだけでなく、他の文字と比較してやや広めとなっている間隔にも対応している。


한국인 Korean

한유의 시, 2012
년 보스턴화선지에 잉크를 사용
73.7cm x 208.3 cm (29”x 82”)

봄철에 완성된 이 작품은 당나라 때의 학자이자 관료였던 한유(768-824)의 작품인 ‘장지의 초봄’이라는 시에서 인용한 것으로, 계절의 아름다움을 노래하고 있다. 

하늘의 길에 가벼운 비가 지나가고
멀리서 보는 잔디는 푸르지만, 가까이 가면 푸르름이 사라지네
지금은 일 년 중 가장 좋은 계절인 봄
먼 곳의 버드나무는 물기를 머금고 제국의 도시에 나부끼네
 

한유의 시와 메이의 서예에서 공통적으로 보여지는 계절은 처음에는 이 두 작품을 연결시키는 듯하다. 그러나 연결은 거기에서 끝나며 메이의 붓 놀림은 독창적으로 그만의 스타일을 보여준다. 그는 전통적인 균형미가 특징인 전서체를 역동적이고 표현이 많은 초서체와 결합시켰다. 일반 감상자들은 여러 글자를 판독하면서 어려움을 느낄 수도 있겠지만, 그림과 같은 요소가 들어간 메이의 기발한 시도는 매력적이며 보는 즐거움을 선사한다.


더 많은 것을 보기 위한 정숙 Quiet to See Further 靜以致遠, 제작년도 없음
화선지에 잉크를 사용
38 cm x 114.3 cm (15”x 45”)

수평적 형태의 작품은 벽에 높이 걸거나 전통적 가옥의 기둥에 옆으로 길게 붙여 놓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작품은 누군가 그 집에 들어올 때 제일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경우가 많고, 그 공간의 분위기를 연출하는 데 도움을 준다. “더 많은 것을 보기 위한 정숙”은 공부방에 어울리며 조용한 사색을 장려한다. 이 작품은 묵직하게 눌러준 뒤 방향을 꺾어서 들어올리는 각이 진 스트로크를 보여주는데, 이는 예서(lishu 隸書)의 특징이다. 역사적으로 볼 때 공공 서류 및 기념비석(누구의 글씨인지 알 수는 없으나)에 사용되었던 예서는 정중하면서도 동시에 개성이 있는 서체이다. 메이는 몇몇 곳에서 의도적으로 잉크가 말라붙게 함으로써 세월이 오래 흐른 듯한 느낌을 주는 고풍스러움을 자아냈다.  오른쪽에 있는 염소 모양의 그림 인장은 장난스러운 분위기를 살짝 더해준다.


진정 위대한 사람들을 찾으려면 이 시대를 보라, 2021
화선지에 잉크를 사용
48.3 cm x 94 cm (19” x 37”)

널리 알려진 마오쩌둥의 시 ‘심원춘 설(沁園春 雪)’에 나오는 유명한 구절이 들어간 이 작품은 화려함으로 빛난다. 메이는 빠르게 움직이는 초서(caoshu 草書)의 스트로크로 이 에너지를 증폭시켰으며, 대부분의 글자들이 한 번에 쓰인 것처럼 끊어지지 않고 연결되어 있다. 일필서(yibishu 一筆書)라고 불리는 이 테크닉은 작품의 역동성을 한층 더 높여준다.


달을 바라보며 바람에게 노래함, 2003 (양의 해)
화선지에 잉크를 사용
53.3 cm x 109.2 cm (21”x 43”)  

네 개의 글자로 구성된 이 작품은 달을 바라보며 바람에게 인사를 전하는, 예로부터 변함없이 계속되는 이미지를 떠올리게 한다. 빠른 트위스트와 턴은 붓의 밑동의 뻣뻣함을 드러내면서 ‘비백(飛白)’ 기법을 보여주는데, 이러한 효과는 저녁 무렵 고요 속의 기쁨이란 주제를 잘 완성해 준다. 뛰어난 솜씨로 인해 스트로크가 마치 묶여 있는 리본처럼 3차원으로 보인다. 작가의 성(姓)이 들어간 작은 인장이 두 개의 글자 吟과 風 사이에 조심스럽게 비스듬히 들어가 있다. 이러한 디테일은 빈 공간에 생기를 불어넣을 뿐 아니라 다른 글자들 사이의 간격에 비해 약간 더 넓은 자리를 메꾸는 역할도 하고 있다.


English

Han Yu’s Poem (韓愈詩), 2012 in Boston
Ink on xuan paper
73.7cm x 208.3 cm (29”x 82”)

Completed during spring, this creation cites the poem “Early Spring to Zhang Ji” 早春呈水部張十八員外 describing the charm of the season by the Tang dynasty scholar-official Han Yu 韓愈 (768-824), which reads: 

Heaven’s streets are slicked by a light rain
From afar, the grass appears green, but up close it’s not visible 
This is the best time of spring in the year 
Far surpassing the willows full of mist in the imperial city

The seasonal resonance between Han Yu’s poem and Mei’s calligraphy initially unites these two works. However, the connection ends there, as Mei’s brush style is uniquely his own. He merges the traditionally balanced seal script with the dynamic expressiveness of cursive script. While the casual reader may find many characters challenging to decipher, Mei’s whimsical inventions, featuring picture-like elements, captivate and delight the eye.


Quiet to See Further (靜以致遠), undated
Ink on xuan paper
38 cm x 114.3 cm (15”x 45”)

The horizontal format is designed to hang high on the wall or across the beam of a traditional house. Such work is often the first thing people see upon entry and helps set the mood of a space. “Quiet to See Further,” ideal for a study, encourages serene contemplation. The piece features angular strokes with pointed lifts following heavy presses, characteristic of the “Clerical script” (lishu 隸書). Historically used for government documents and commemorative stone steles by anonymous scribes, the clerical script can be formal as well as idiosyncratic. Mei evokes antiqueness by deliberately allowing the ink to run dry in places, giving the impression of strokes weathered by age. A pictorial seal of a goat on the right adds a touch of playfulness.


For Truly Great People, Look to this Age (數風流人物 還看今朝), 2021
Ink on xuan paper 
48.3 cm x 94 cm (19” x 37”)

Featuring famous lines from Mao Zedong’s poem, “To the Tune of Qin Yuan Chun: Snow” (沁園春 雪), this work radiates flamboyance. Mei amplifies this energy through the swift, flowing strokes of the cursive script (caoshu 草書), with most characters seamlessly linked as if written in a single breath. This technique, known as “one-brush calligraphy” (yibishu 一筆書), enhances the dynamic quality of the piece.


Enjoying the Moon and Chanting to the Wind (賞月吟風), 2003 (Year of the Goat)
Ink on xuan paper
53.3 cm x 109.2 cm (21”x 43”)

This four-character piece evokes the timeless imagery of admiring the moon while saluting the wind. Rapid twists and turns reveal passages of “flying white,” exposing the bristles of the brush. These effects complement the theme of joy amidst nocturnal calmness. The superb execution makes the strokes appear three-dimensional and intertwined like tied ribbons. A small seal with the artist’s family name is carefully placed between the two characters (“chant” 吟 and “wind” 風) at an angle. This detail not only animates the void but also addresses the slightly wider spacing here compared to the other characters.